일단 반짝여 - 연애,이슈

미국에서 아이폰 만들면 500만원? 상상 초월한 '충격 가격' 현실화 되나

정드남 -정보를 드리는 남자 2025. 4. 11.
반응형

 

 

"아이폰이 500만원이 된다고요?"
처음 이 소식을 들었을 때, 저도 귀를 의심했습니다. 하지만 이건 단순한 루머가 아니라 월가 전문가들이 경고하는 '현실적 시나리오'였습니다. 미국 생산이 가져올 충격파는 단순한 가격 상승을 넘어, 글로벌 공급망 재편이라는 거대한 변화까지 시사합니다.


📱 미국에서 아이폰 생산? "가격 3배 뛴다"

웨드부시증권의 댄 아이브스 애널리스트는 최근 CNN과의 인터뷰에서 "아이폰을 미국에서 생산하면 가격이 3500달러, 즉 약 512만 원까지 뛸 수 있다"고 전망했습니다.
현재 약 1000달러 수준인 아이폰 가격이 3배 이상으로 오를 수 있다는 분석이죠.

그 이유는 간단하면서도 복잡합니다. 지금의 아이폰은 아시아 곳곳에 퍼진 정교한 공급망을 기반으로 제작됩니다. 이를 미국 내에서 그대로 재현하려면 천문학적인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입니다.


💸 미국 이전 시, 300억 달러와 3년 필요

아이브스는 "공급망의 10%만 미국으로 옮겨도 300억 달러(약 40조 원)와 3년이라는 시간이 든다"고 강조했습니다.
만약 미국 내 웨스트버지니아나 뉴저지 등에 반도체 공장을 짓는다면? 그 결과는 500만 원짜리 아이폰입니다.


🔥 애플의 현실적인 선택지는?

이런 현실을 반영해 애플도 미국 생산보다는 인도나 브라질처럼 관세 장벽이 낮은 국가들을 대안 생산기지로 모색하고 있다고 합니다.
하지만 이들 국가는 중국만큼의 생산 역량을 갖추진 못했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합니다.


📈 관세만 올라도 가격 30~43% 상승

공급망을 그대로 두더라도, 트럼프 대통령이 추진하는 상호관세가 실제 적용된다면 아이폰 가격은 크게 오를 수밖에 없습니다.

  • 로젠블렛 증권: “가격 43% 상승할 것”
  • 카운터포인트 리서치: “약 30% 인상 예상”

결국 관세는 소비자에게 전가될 수밖에 없는 구조라는 것이죠.


반응형

🧠 정보의 한 줄 정리

아이폰 500만 원 시대? 절대 먼 미래의 일이 아닙니다.
글로벌 공급망과 무역 정책이 바뀌면, 우리가 쓰는 스마트폰 가격도 순식간에 달라질 수 있습니다.
'메이드 인 USA'의 대가는 생각보다 훨씬 비쌉니다.

반응형
LIST

댓글